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램프 파이썬
- 역사 파이썬
- 등굣길 파이썬
- 백준 1167 트리의 지름 파이썬
- 백준 1043 거짓말 파이썬
- 프로그래머스 등굣길
- 백준 1613 역사
- 프로그래머스 순위
- 가장 긴 팰린드롬 파이썬
- 프로그래머스 베스트앨범
- 베스트앨범 파이썬
- 트리의 지름 파이썬
- 백준 11054.가장 긴 바이토닉 부분 수열
- 백준 1238 파티 파이썬
- 반도체 설계 파이썬
- 프로그래머스 여행경로
- SQL SERVER MIGRATION
- 프로그래머스 순위 파이썬
- 백준 2352 반도체 설계 파이썬
- 가장 긴 바이토닉 부분 수열 파이썬
- 백준 1516 게임 개발
- 프로그래머스 가장 긴 팰린드롬
- 다리 만들기 파이썬
- 순위 파이썬
- 백준 2146 다리 만들기
- SQL SERVER 장비교체
- 백준 1034 램프 파이썬
- SWEA
- 다중 컬럼 NOT IN
- 게임 개발 파이썬
Archives
- Today
- Total
공부, 기록
DBCP 본문
DBCP : DB와 어플리케이션의 연결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커넥션의 최대 수, 최대 대기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EX)COMMONS DBCP
initialSize | BasicDataSource 클래스 생성 후 최초로 getConnection() 메서드를 호출할 때 커넥션 풀에 채워 넣을 커넥션 개수 |
maxActive |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커넥션 개수(기본값: 8) |
maxIdle | 커넥션 풀에 반납할 때 최대로 유지될 수 있는 커넥션 개수(기본값: 8) |
minIdle | 최소한으로 유지할 커넥션 개수(기본값: 0) |
DBCP의 크기가 커지면 메모리 소모는 늘어나지만 사용자의 대기시간이 줄어든다.
JDBC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풀링의 이점을 극대화하려면 항상 연결을 명시적으로 닫아줘야 함.
maxIdle과 maxActive는 같은 값을 가지는 것이 효율적이다 만약 maxActive값이 더 크다면 일부 커넥션이 매번 생성했다 닫는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Thread의 개수와 함께 고려하여 CP의 크기를 정해야한다. 보통 CP보다 Thread를 여유있게 설정하는 것이 좋음.
참고 :
d2.naver.com/helloworld/5102792
www.holaxprogramming.com/2013/01/10/devops-how-to-manage-dbcp/
'공부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Server, MySQL, MongoDB 비교 (0) | 2021.06.06 |
---|---|
데이터 웨어하우스 // 데이터 파이프라인 (0) | 2021.05.23 |
[MSSQL/SQL SERVER] DB 이관(Migration) (0) | 2021.05.02 |
[MSSQL/SQL SERVER] 복제 (Replication) (0) | 2021.04.25 |
[MSSQL/SQL SERVER] 병렬처리 (0) | 2021.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