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백준 1516 게임 개발
- 프로그래머스 등굣길
- 게임 개발 파이썬
- 순위 파이썬
- 백준 1613 역사
- 램프 파이썬
- 등굣길 파이썬
- 백준 1167 트리의 지름 파이썬
- 백준 1043 거짓말 파이썬
- 프로그래머스 순위
- 백준 1034 램프 파이썬
- 가장 긴 팰린드롬 파이썬
- SQL SERVER MIGRATION
- 베스트앨범 파이썬
- 백준 2352 반도체 설계 파이썬
- SWEA
- 다중 컬럼 NOT IN
- 반도체 설계 파이썬
- 백준 1238 파티 파이썬
- 프로그래머스 순위 파이썬
- 트리의 지름 파이썬
- 프로그래머스 여행경로
- 역사 파이썬
- 프로그래머스 베스트앨범
- 백준 11054.가장 긴 바이토닉 부분 수열
- 가장 긴 바이토닉 부분 수열 파이썬
- 백준 2146 다리 만들기
- SQL SERVER 장비교체
- 프로그래머스 가장 긴 팰린드롬
- 다리 만들기 파이썬
Archives
- Today
- Total
공부, 기록
프로세스, 쓰레드 본문
프로그램 : 작업을 위해 실행하는 파일
프로세스 : 운영체제로부터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중인 프로그램
프로세스는 운영체제로 부터 CPU, 메모리(CODE, DATA, STACK, HEAP), 주소 등의 자원을 할당 받음.
프로세스당 1개의 스레드를 가지고 있음.
한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의 자원에 접근하려면 프로세스 간의 통신(IPC, inter-process communication)을 사용해야 한다.
쓰레드 :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여러 흐름의 단위 즉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실행의 단위.
쓰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각각 Stack만 따로 할당받고 Code, Data, Heap 영역은 공유한다.
같은 프로세스 안에 있는 여러 쓰레드 들은 같은 힙 공간을 공유한다. 반면에 프로세스는 다른 프로세스의 메모리에 직접 접근할 수 없다
멀티 프로세스 :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프로세스로 구성하여 각 프로세스가 하나의 작업(태스크)을 처리하도록 하는 것.
- 장점
여러 개의 자식 프로세스 중 하나에 문제가 발생하면 그 자식 프로세스만 죽는 것 이상으로 다른 영향이 확산되지 않는다. - 단점
Context Switching(CPU에서 여러 프로세스를 돌아가면서 작업을 처리하는 데 이 과정)에서의 오버헤드
Context Switching 과정에서 캐쉬 메모리 초기화 등 무거운 작업이 진행되고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등의 오버헤드가 발생하게 된다.
프로세스는 각각의 독립된 메모리 영역을 할당받았기 때문에 프로세스 사이에서 공유하는 메모리가 없어, Context Switching가 발생하면 캐쉬에 있는 모든 데이터를 모두 리셋하고 다시 캐쉬 정보를 불러와야 한다.
프로세스 사이의 어렵고 복잡한 통신 기법(IPC)
프로세스는 각각의 독립된 메모리 영역을 할당받았기 때문에 하나의 프로그램에 속하는 프로세스들 사이의 변수를 공유할 수 없다.
멀티 쓰레드 :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스레드로 구성하고 각 스레드로 하여금 하나의 작업을 처리하도록 하는 것.
윈도우, 리눅스 등 많은 운영체제들이 멀티 프로세싱을 지원하고 있지만 멀티 스레딩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웹 서버는 대표적인 멀티 스레드 응용 프로그램이다.
- 장점
시스템 자원 소모 감소 (자원의 효율성 증대)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자원을 할당하는 시스템 콜이 줄어들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시스템 처리량 증가 (처리 비용 감소)
스레드 간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간단해지고 시스템 자원 소모가 줄어들게 된다.
스레드 사이의 작업량이 작아 Context Switching이 빠르다.
간단한 통신 방법으로 인한 프로그램 응답 시간 단축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의 Stack 영역을 제외한 모든 메모리를 공유하기 때문에 통신의 부담이 적다. - 단점
주의 깊은 설계가 필요하다.
디버깅이 까다롭다.
단일 프로세스 시스템의 경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다른 프로세스에서 스레드를 제어할 수 없다. (즉, 프로세스 밖에서 스레드 각각을 제어할 수 없다.)
멀티 스레드의 경우 자원 공유의 문제가 발생한다. (동기화 문제)
하나의 스레드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 프로세스가 영향을 받는다.
참고 :
https://gmlwjd9405.github.io/2018/09/14/process-vs-thread.html